Surprise Me!

[경제PICK] "어서 집으로"...19분 빨라진 직장인 퇴근 시계 / YTN

2024-10-16 143 Dailymotion

마지막 키워드, 영상부터 보고 오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하철 타는 시간이 빨라졌다는 게 흥미로운데요. <br /> <br />한 카드사에서 서울, 수도권 5개 주요 업무지구 직장인들의 퇴근 시간대 지하철 승차 시간을 분석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보셨듯이 최근 직장인이 퇴근시간대에 지하철에 타는 시간이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19분 빨라졌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KB국민카드가 광화문, 강남, 여의도 등 5개 주요 업무지구 직장인의 퇴근시간대 지하철 승차시간을 분석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2019년엔 승차시간이 평균 오후 6시 47분이었는데 올해는 오후 6시 28분으로 앞당겨졌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또 5개 업무지구별로 보면요. <br /> <br />구로 21분, 광화문, 강남은 20분 등으로 승차시간이 빨라졌다는 걸 알 수 있는데요. <br /> <br />5년 새 오후 5시~6시 사이 승차 건수 비중이 10%포인트 늘어난 점 등을 고려하면 그만큼 이른 퇴근을 하는 사람이 증가했다는 걸 엿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렇게 퇴근시간이 빨라진 게 회식과 같은 저녁 자리가 줄어든 것으로 보이는 결과도 나왔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업종별로 살펴봤더니 퇴근 이후 먹거리 업종 이용건수는 감소했지만 여가활동 이용 건수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<br /> <br />먼저 저녁시간 먹거리 업종의 월 이용금액요. <br /> <br />월 12만7천 원으로 5년 전과 비교하면 15%나 증가했지만 오히려 이용건수는 8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퇴근 후에 직장 근처에서 동료들과 저녁을 함께하는 횟수는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인데요. <br /> <br />반면 퇴근 후에 여가활동에 투자하는 비용은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월평균 이용금액은 2019년 7만2천 원에서 올해 8만6천 원으로 20% 정도 증가했고요. <br /> <br />인당 월평균 이용건수도 2.1건에서 2.3건으로 8%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다면 직장인 퇴근 시계가 5년 새 19분 정도 왜 빨라진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우선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인해 업무를 마치고 퇴근시간대 지하철에 타는 시간이 빨라진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최근 들어 일과 생활의 균형, 이른바 '워라밸'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도 사실이고요. <br /> <br />그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회식 기피 현상 등이 코로나19 이후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상대적으로 이른 퇴근이 이어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코로나19 이후에 시차출퇴근제와 같은 유연근무제 도입이 확산하면서 적잖은 기업들이 이런 제도를 시행하는 것도 하나의 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01617130880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